[maya] vray 랜더상으로 유리재질 caustic 느낌 살리기 3탄
안녕하세요! 오늘은 caustic에 다루는 3번째 포스트 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spot light에만 caustic이 적용될 수 있게 나머지 설치된 light를 개별적으로 caustic을 빼보보고 caustic의 강도를 조절하는 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저번 포스트
-> 1탄: http://134.185.107.196/vray_caustic_render/
-> 2탄: http://134.185.107.196/vray_caustic_render_2/
ㄴ 1탄에서 caustic render setting과 오브젝트에 유리재질 넣어주었습니다.
ㄴ 2탄에서 spot light를 설치후 배치후 vray light attribute를 추가해주고 Caustic subdivs와 Caustic multiplier를 조절해주고 emit diffuse와 emit specular를 체크해제 해주었습니다.
다른 라이트의 caustic 기능 빼기
render setting창에서 caustic을 활성화하면 ‘모든’ vray light는 caustic효과가 적용이 됩니다.
즉 원하지 않은 라이트에 caustic값이 들어가게 됩니다.
-> ‘개별적’ 으로 attribute창에서 caustic에 관한 값을 빼줘야합니다.
방법)
1. spot light를 제외한 라이트를 개별적으로 선택해줍니다.
2. 선택한 라이트의 오른쪽 attribute 창안에 Photon Emission카테고리
Castics subdivs의 휠을 가장 왼쪽으로 하고 causetics Multiplier값을 0으로 설정해줍니다.
spot light 제외한 모든 라이트를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해주면 됩니다.
< Castics subdivs >
ㄴ 빛의 알맹이들을 올리면 올릴수록 더작고 세밀하게 만들어주는 퀄리티를 의미합니다.
< Causetics multiplier >
ㄴ caustic이 일어나는 세기를 의미합니다.
ㄴ 0이면 더이상 caustic이 적용이 안됩니다.
★ caustic의 강도를 올려주는 3가지
1. Render setting 안에 render using이 vray로 설정된 상태에서 gi탭 – > caustic창의 Multiplier를 올려주는 방식
2. caustic이 나오는 spot light의 intensity 를 올려주는 방식
3. spot light의 Extra Vray Attributes 창에 있는 caustics Multiplier 를 올려주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