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ged: IT zest > 정보보안기사

Zero Trust Security Model 0

[정보보안] 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Zero Trust Security Model)에 관하여

아래 내용은 KISA의 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1.0에서 요약/발췌한 내용입니다. Forrester Research의 수석 애널리스트인 John Kindervag(존 킨더백)은 2010년 처음으로 제로트러스트의 개념을 소개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는 기존에 없던 완전히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기존 경계 기반 보안 모델(Perimeter Security...

출처: https://unzip.dev/0x011-sbom/ 0

[정보보안]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에 관하여

HBOM(Software Bill of Materials)에 대한 설명을 함께 보시면 좋습니다. 소프트웨어 자재명세서(Software Bill of Materials, SBOM)은 소프트웨어(SW) 구성요소를 서술하는 일종의 메타 데이터로 SW 전체의 구성요소, 라이선스, 버전, 종속성 등을 목록화한 문서입니다. SBOM은 소프트웨어의 투명성과 보안성을...

Information Security Specialist 0

[정보보안] SW 공급망 침해 사례 및 공격 유형

KISA 보호나라&KrCERT/CC 사이트에 등록된 “SW 공급망 보안 가이드라인 1.0“의 내용을 발췌하였습니다. SW 공급망 침해 사례 미국은 솔라윈즈(Solarwinds) 등 대규모 SW 공급망 공격을 경험하면서 2021년 5월 ‘국가 사이버보안의 개선에 관한 대통령의 행정명령(EO 14028)’을 발표하였다. 이는...

OWASP Top 10 0

[정보보안] OWASP Top 10 –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위험(2021년)

2024년 1회 정보보안실기시험에 OWASP Top 10 항목 중 SSRF(Server-Side Request Forgery)가 출제되었습니다(문제 내용이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암호화 오류(Cryptographic Failures)를 포함하여 Top 10 항목 중 2021년에 새롭게 반영된 카테고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예방 방법 및 공격...

CPPG 0

[정보보안] 표준 개인정보처리위탁 계약서(양식)

※ 개인정보 처리업무 위탁 시 문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제1항 및 동법 시행령 제28조제1항)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의 처리 금지에 관한 사항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에 관한 사항 위탁업무의 목적 및 범위 재위탁...

Apache Log4j Vulnerability 0

[Linux] Apache Log4j(Log4Shell) 취약점에 대해

Log4j(Log for Java)란 무엇입니까? Log4j는 Apache에서 유지 관리하는 오픈 소스 로깅 프레임워크입니다. 소프트웨어 내에서 메시지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며 시스템의 다른 서비스와 통신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통신 기능은 취약점이 존재하는 부분으로, 공격자가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Information Security Specialist 0

[Windows] 윈도우즈 취약점 대응: DEP, NBT, DDE

Windows 취약점 대응과 관련하여 다양한 주제가 있지만 정보보안기사 필기시험 및 실기시험 자주 출제되는 3가지 기능(DEP, NBT, DD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데이터 실행 방지(Data Execution Prevention, DEP) 기능 사용 데이터 실행 방지 기능을 사용하면 메모리의...

IPsec VPN 0

[Network] IPsec VPN에 대하여

IPsec은 보편적인 인터넷 보안 표준을 생성하기 위해 고안됐고, 진정한 의미의 “안전한 인터넷 연결”을 처음으로 실현했습니다. 비록 IPsec이 오늘날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은 아니지만, 인터넷 통신 보안에 있어 여전히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IPsec은...

hping3 0

[Linux] 예제를 통해 hping3 명령어 사용법을 알아봅시다

hping3는 Salvatore Sanfilippo가 개발한 네트워크 도구로, 네트워크 보안, 네트워크 성능 테스트,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분석, 모의 네트워크 공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hping3 명령어의 옵션들이며 자주 사용하는 옵션을 파란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root@kali:~# hping3 -h usage: hping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