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Apache 웹 서버(httpd)의 보안 설정을 강화하기(httpd.conf)
여전히 아파치 웹 서버를 많이 사용하고 있지요! 그래서 Apache 웹 서버(httpd)의 보안 설정을 강화하기 위해 알아야 할 환경설정 파일(httpd.conf)의 지시자 및 모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웹 서비스(httpd) 점검” 글에서도 기본적인 보안 설정 사항을 확인하실 수...
여전히 아파치 웹 서버를 많이 사용하고 있지요! 그래서 Apache 웹 서버(httpd)의 보안 설정을 강화하기 위해 알아야 할 환경설정 파일(httpd.conf)의 지시자 및 모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웹 서비스(httpd) 점검” 글에서도 기본적인 보안 설정 사항을 확인하실 수...
KISA 보호나라&KrCERT/CC 사이트의 “알림마당 > 보고서/가이드”에 등록된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2023년 하반기)“의 키워드를 요약한 것입니다. Part.1 사이버 위협 동향 1-1. 침해사고 현황 1-2. IoT 봇넷 위협 동향 국내에서도 무봇(Moobot), 가프짓(Gafgyt), 에코봇(echobot) 등 기존 미라이...
리눅스의 취약점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커널 환경변수(Kernel Parameter)를 살펴봐야 합니다. 커널 환경변수의 역할은 다양하며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스템 동작 제어: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예를 들어, 시스템 콜, 파일 시스템, 네트워크 등의 동작을...
정보보안기사를 준비하면서 암호학이 특히 어렵습니다. 다양한 알고리즘과 그들의 약어, 그리고 동일한 이름인데 다른 개념으로 설명될 때가 당황스럽습니다. 동일한 이름인데 다른 개념으로 설명되는 것 중에 하나가 “Key Distribution Center(KDC)”입니다. 일반적인 보안 용어로서의 KDC와 Kerberos에서 사용하는...
정보보안기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데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게 너무 힘드네요. 그래서 나름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로 ①블록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②비대칭키 알고리즘, ③해수함수가 많이 언급되고 있어서 종류 및 특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①블록 대칭키 암호화...
리눅스를 시작하게 되면 가장 먼저 소개되는 파일 중의 하나가 /etc/shadow 파일일 겁니다. 암호의 사용 기간 정보와 함께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아래 이미지는 /etc/shadow 파일의 필드 포맷에 대한 설명입니다. 암호화와 관련된 항목에 대해서는 더 자세히...
정보보안기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데 SET(Secure Electronic Transaction) 이중서명(Dual Signature)을 이해하기 위해 동작순서를 Process Map으로 정리해 봤습니다. 이중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해시 함수와 암호화에 대해 가볍게 이해하도록 하겠습니다. 해시 함수 (Hash Function): 일방향 함수로, 주어진 입력에...
Linux 서버가 운영상태일 경우에는 가급적 root 사용자가 ssh 접속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혹시 모를 잘못된 명령어 입력으로 서버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서버를 관리하다보면 불가피하게 root 사용자로 ssh 접속을 할...
리눅스 로그를 기록하는 패키지들 중의 하나인 psacc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sacct 패키지는 사용자별로 프로세스 사용 통계 로그를 수집하는 유틸리티로 , 패키지에 포함된 데몬 및 명령어를 사용하여 프로세스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로그를 기록합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용자가 로그아웃을 잊고 컴퓨터에서 이탈하는 경우, 타인이 해당 컴퓨터에 접근하면 사용자의 개인 정보 등 민감한 정보가 노출될 수 있으며, 악의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이러한 보안 위협을 방지하기 위해 로그인한 사용자의 활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