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ged: IT zest > 정보보안기사

Surface web / Deep web / Dark web 0

[Network] Surface web / Deep web(딥 웹) / Dark web(다크 웹)

인터넷의 구조는 Surface web과 Deep web이 있고, Deep web 아래에는 Dark web이 있습니다. Surface Web:Surface web은 인터넷에서 일반적으로 접근 가능한 부분입니다. 이 영역에는 Google, Naver, Bing, Yahoo 등의 검색 엔진에 의해 쉽게 색인화되고 검색될...

MBR, VBR 0

MBR과 VBR의 역할

Master Boot Record(MBR)와 Volume Boot Record(VBR)은 모두 컴퓨터 부팅 프로세스와 관련이 있지만, 다른 역할을 합니다. Master Boot Record (MBR): MBR은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에 위치하며, 보통 512바이트로 구성됩니다. MBR은 부팅 가능한 파티션의 위치와 크기를...

VoIP 0

[Network] VoIP가 사용하는 프로토콜 및 메세지에 대하여

VoIP(Voice over IP)는 음성 통화를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 전송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것은 전통적인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전화 통화와 대조됩니다. VoIP 기술은 전화 통화를 디지털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며, 이러한 패킷은 TCP/IP 네트워크를...

nftables 0

[Linux] 리눅스 방화벽 도구(3) – nftables

이 글은 RHEL 9 Getting started with nftables를 참고해서 작성하였습니다. ipset 및 iptables-nft 패키지는 Red Hat Enterprise Linux 9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여기에는 iptables, ip6tables, arptables 및 ebtables 유틸리티와 같은 nft 변형의 더...

firewalld daemon 0

[Linux] 리눅스 방화벽 도구(2) – firewalld 데몬 설명과 firewall-cmd 명령어의 사용법

firewalld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방화벽 관리를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데몬입니다. CentOS, Fedora, Red Hat Enterprise Linux 등의 Red Hat 계열 리눅스 배포판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며, 보안을 강화하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CentOS7부터 iptables의 대안으로 firewalld가...

firewall tools of netfilter 0

[Linux] 리눅스 방화벽 도구(1) – iptables

netfilter를 언급하지 않고 리눅스에서 방화벽을 논할 수가 없습니다. netfilter는 패킷 필터링, 네트워크 주소 변환, 포트 변환 등과 같은 네트워크 기능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Linux 커널의 프레임워크입니다. 즉, netfilter의 기능 자체가 방화벽을 설명하는 것이며, netfilter는...

0

[Linux] journalctl로 저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기

journalctl는 systemd journal database(저널 데이터베이스)에 질의를 하는 명령어입니다. 먼저 저널 데이터베이스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적:– systemd의 일환으로 동작하는 로깅 시스템의 일부로서, 로그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특징:– 로그 메시지를 스키마에 따라 구조화하여 저장합니다.– 각 로그...

Linux Log Files 0

[Linux]한눈에 보이는 리눅스 로그(Linux Log) 총정리, 그리고 관련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의 기본적인 로그 파일들은 syslogd(rsyslogd) 데몬에 의해 제어되고 설정파일인 syslogd.conf(rsyslog.conf)를 수정함으로써 로그 파일들의 저장 위치와 파일명, 로그 레벨 등의 변경이 가능합니다. Linux 커널에서 발생시키는 로그 뿐만 아니라, 아파치 웹 서버(httpd)나 FTP 서비스(vsftpd)와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