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ged: network

IPsec VPN 0

[Network] IPsec VPN에 대하여

IPsec은 보편적인 인터넷 보안 표준을 생성하기 위해 고안됐고, 진정한 의미의 “안전한 인터넷 연결”을 처음으로 실현했습니다. 비록 IPsec이 오늘날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은 아니지만, 인터넷 통신 보안에 있어 여전히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IPsec은...

ARP Attack 0

[Network] ARP Spoofing 공격과 ARP Redirect 공격의 차이점

ARP Spoofing 공격과 ARP Redirect 공격(ARP Cache Poisoning)은 둘 다 ARP 프로토콜을 악용하는 네트워크 공격 유형입니다. 그러나 각각의 동작과 목적은 다릅니다. ARP Spoofing 공격: 공격자는 자신의 MAC 주소를 피해자의 IP 주소와 매핑시키는 것을 목표로...

Surface web / Deep web / Dark web 0

[Network] Surface web / Deep web(딥 웹) / Dark web(다크 웹)

인터넷의 구조는 Surface web과 Deep web이 있고, Deep web 아래에는 Dark web이 있습니다. Surface Web:Surface web은 인터넷에서 일반적으로 접근 가능한 부분입니다. 이 영역에는 Google, Naver, Bing, Yahoo 등의 검색 엔진에 의해 쉽게 색인화되고 검색될...

VoIP 0

[Network] VoIP가 사용하는 프로토콜 및 메세지에 대하여

VoIP(Voice over IP)는 음성 통화를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 전송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것은 전통적인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전화 통화와 대조됩니다. VoIP 기술은 전화 통화를 디지털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며, 이러한 패킷은 TCP/IP 네트워크를...

0

[Linux]네트워크 점검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14개

서버에서 네트워크 상태 점검은 매일 하는 일이 아니라, 서버를 설치하거나 서버 접속에 문제가 있을 때나 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명령어들의 사용법을 잊기 쉽습니다. 저도 예외는 아니죠! 사용할 때마다 man 페이지를 보는데 사용하는 옵션은 거의...

0

[Windows]네트워크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툴(winMTR) 소개

제가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할 때 주로 사용하는 winMTR 프로그램은 1997년에 출시된 전통과 역사를 가지고 있는 Open Source Tool입니다. 리눅스 및 유닉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경로 및 각 호스트 간의 지연 시간(핑)을 추적하고 보여주는 MTR(Matt’s Tracero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