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ke] keyer 노드에 대해 쉽게 이해하기 3탄
안녕하세요! 오늘은 red keyer로 operation 까지 설정한 keyer의 그래프를 조절해서 알파값 흰색, 검은색 범위를 설정해보겠습니다. 해당 내용을 저번 포스트에서 다뤘습니다. 저번 포스트 주소: http://134.185.107.196/keyer_node_in_nuke/ 1. 뷰어창이 알파채널로 본 상태에서 keyer의 그래프의 맨 왼쪽 아래 노란색...
안녕하세요! 오늘은 red keyer로 operation 까지 설정한 keyer의 그래프를 조절해서 알파값 흰색, 검은색 범위를 설정해보겠습니다. 해당 내용을 저번 포스트에서 다뤘습니다. 저번 포스트 주소: http://134.185.107.196/keyer_node_in_nuke/ 1. 뷰어창이 알파채널로 본 상태에서 keyer의 그래프의 맨 왼쪽 아래 노란색...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미지 소스나 영상소스에서 내가 roto로 따기 어려운 소스를 따줄때 소스 자체의 명도를 조절해서 알파값의 흑백의 범위를 조절해서 알파값 대비감을 준 keyer에 대한 설정값을 조금 더 이해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keyer의 설정값- operation...
안녕하세요! 오늘은 누크에서 png파일이나 exr파일을 불러오는 경우 뷰어창에서 보게되면 해당 png에서 비어져 있는 구간이 투명하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알파를 가지고는 있지만 주변색이나 흰색이 채워져서 보이게 되게 됩니다. 이런경우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바로 png, exr파일의 투명배경의...
안녕하세요! 오늘은 누크의 reformat노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reformat 노드란 서로 다른 이미지를 합성해줄때 사이즈를 누크의 project setting의 format size에 맞춰주는 기능입니다. reformat 노드가 필요한 이유 누크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사진들끼리는 혼합을...
roto + merge를 이용해서 합성하는 법을 저번시간에 배워봤습니다. roto로 누끼를 따고 merge의 a선을 알파값이 있는 소스에 연결하고 merge의 mask선을 roto에 연결해서 checkboard와 또다른 merge로 합성을 해보았습니다. ㄴ 저번 시간의 포스트: http://134.185.107.196/roto_node_in_nuke_5/ 이번에는 roto + merge를...
안녕하세요! 오늘은 Roto 노드를 활용하여 Alpha 채널을 이동시키는 두 번째 방법에 대해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이 방법은 매우 유용하며 자주 사용되므로 반드시 숙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roto 노드를 이용해서 alpha를 옮기는 방법 두번째 방식) merge를 이용해서...
안녕하세요! 오늘은 Nuke의 Roto를 활용하여 소스와 합성시키는 과정을 탐구해보는 흥미로운 시간을 함께 하려고 합니다. roto 노드를 이용해서 alpha를 옮기는 방법 첫번째 방식) roto의 bg에 바로 연결을 하는 소스에 연결후 premult 노드를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
안녕하세요 오늘은 누크의 알파값을 다루는 roto노드에 대해서 좀더 더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roto로 누끼를 따기전에!! 내가 roto따주는 소스의 크기와 project setting의 full size format의 크기가 같아야합니다. roto노드를 더블클릭하면 왼쪽탭에 셀렉툴, 펜툴,...
안녕하세요! 오늘은 누크에서 알파값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합성할때 알파값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알파값에대해 기본적인 개념을 잘 인지하고 합성을 진행해야합니다! 알파값에 대한 설명을 하기 앞서서 누크를 열고 노드 그래프창에 소스를 떨궈주세요!...
저번시간에는 constant노드의 색상값을 변경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constant노드에 대한 r,g,b,a채널과 알파값에 대한 내용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시간의 개념을 사용해서 constant노드를 색상 설정값을 변경해서 1번으로 본 상황입니다. 이 상태에서 뷰어창에 마우스를 대고 a키, r키, g키, b키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