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ke] keyer 노드에 대해 쉽게 이해하기 3탄

안녕하세요! 오늘은 red keyer로 operation 까지 설정한 keyer의 그래프를 조절해서 알파값 흰색, 검은색 범위를 설정해보겠습니다.

해당 내용을 저번 포스트에서 다뤘습니다.

저번 포스트 주소: http://134.185.107.196/keyer_node_in_nuke/


1. 뷰어창이 알파채널로 본 상태에서 keyer의 그래프의 맨 왼쪽 아래 노란색 막대기를 오른쪽으로 땡겨서 검은색 영역을 늘려줍니다.

2. keyer 설정창의 맨 오른쪽 위의 노란색 막대기를 왼쪽으로 땡깁니다.

-> 흰색영역이 늘어나게 됩니다.

3. 다시 뷰어창에서 마우스를 대고 a키를 눌러서 알파채널말고 rgba채널로 봐줍니다.

현재 뷰어창에서 해당 크기가 hd 1080인것을 확인가능합니다.

4. 노드 그래프 창에서 s키를 눌러서 properties 창의 project setting창을 열고 해당 창에서 full size format을 hd 1080으로 설정해줍니다.

5. 이제 알파값을 추출하기 위해 copy노드를 사용하겠습니다.

tab으로 copy노드를 생성해줍니다. -> copy 1노드가 생성이 되었습니다.

6. copy 1 노드의 a선은 keyer 1 에 연결을 해주시고

copy 1 노드의 b선은 영상 소스에 연결해주세요

7. 뽑아준 알파값을 잘라주기 위해 tab으로 premult 노드를 생성해줍니다.

-> premult 1노드가 생성이 됩니다.

8. copy 1아래에 premult 1노드를 달아줍니다.


이렇게 영상소스를 알파값으로 추출해서 잘라주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현재 불 소스에서 불 부분만 잘라진 상태입니다. 이런 상태에서 다음 포스트에서는 다른 소스와 합성을 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