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ke] grade노드에 대해 쉽게 이해하기
누크에서 두개소스를 합성할때 고려해야하는 것은 컬러감과 해상도입니다. 해상도는 blur노드, defocus노드를 사용하는데 컬러감은 grade와 colorcorrect노드를 사용합니다. 그중에 오늘은 grade노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겠습니다. grade의 설정창에서 사용되는 black point, white point, lift, gain, multiply, offset, gamma 항목들의 각각의 특징을 잘 기억해서 자신의 이미지를 더 자연스럽고 예술적으로 표현해보세요!
grade 노드
ㄴ 단축기 g
ㄴ 두개의 소스를 합성할때 사용하는 색보정 노드입니다.
ㄴ 주로 전체적으로 소스의 색감을 조절해줄때 사용하는 노드입니다.
-> 다음 포스트에서 다룰 colorcorrect는 명암별로 색보정을 하는 노드이고 좀더 이쁘게 만들어주기위한 작업을 하는 노드입니다.
ㄴ grade노드는 소스아래에 하나의 grade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개의 grade를 연결해서 자신이 원하는 느낌을 도출해줍니다.
grade 노드 설정값
black point: 가장 어두운 지점에 대한 것, 자주 사용되는 속성이니 꼭 인지하기!
ㄴ black point 값을 늘리면 어두운 부분이 늘어나게 됩니다.
white point: 가장 밝은 지점에 대한 것, 자주 사용되는 속성이니 꼭 인지하기!
ㄴ white point 값을 줄이면 밝은 부분이 늘어나게 됩니다.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간의 대비가 낮으면 낮을 수록 뿌옇게 보이게 됩니다.
lift: 어두운 부분의 밝기를 끌어올려주기 위한 속성, 거의 사용안하는 속성입니다..
ㄴ lift 값을 늘리면 어두운 부분이 뿌옇게 변하고, 줄이면 어두운 부분이 더 어두워집니다.
gain: 밝은 빛의 색상을 합성할때 사용하는 속성, 자주 사용되는 속성이니 꼭 인지하기!
ㄴ gain 값을 늘리면 밝은 곳이 더 밝아지고, 줄이면 어두운 부분은 더 어두워집니다.
ㄴ gain값 옆의 무지개 구를 선택해서 rgb값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ㄴ gain값 옆의 네모박스 클릭해서 colorpicker를 활성화후 뷰어창에서 합성해주는 소스의 밝은 부분의 색감에 ctrl 클릭해서 분위기를 맞춰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 ctrl 클릭시 해당 부분에 색감이 인식이 됩니다.
단! gain 값이 너무 쎄지면 대비감이 생길 수 있어서 중간톤을 조절할 수 있는 gamma를 조절해야합니다.
multiply: 강도, 세기를 조절하는 속성
ㄴ multiply 값을 늘리면 전체적으로 밝아지고, 줄이면 전체적으로 어두워집니다.
offset: 어두운 그림자 색상을 합성할때 사용하는 속성, 자주 사용되는 속성이니 꼭 인지하기!
-> gain과 반대되는 속성입니다.
그래서 gain값과 반대되게 값을 주어야합니다.
ex) gain값이 밝은 주황이면 offset값은 보색인 어두운 파랑으로
하지만 보통 gain값만 사용하고 offset값은 건들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보통 어두운 그림자의 색상을 합성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때문입니다. 그림자는 보통 다 검은색..
gamma : 명암의 중간단계를 추가하는 속성, 자주 사용되는 속성이니 꼭 인지하기!
mask 옆의 박스 클릭후-> rgba.alpha 항목을 사용하는 경우
ㄴ 내가 해당 소스를 roto나 keyer + copy + premult노드를 통해서 잘라준 경우에 잘라준 부분에만 해당 grade의 black point, white point, lift, gain, multiply, offset, gamma의 설정값을 적용하겠다는 설정입니다.
ㄴ 만약 mask을 rgba.alpha가 아닌 none으로 설정하면 잘라준거 신경안쓰고 전체적으로 grade에 설정값들이 들어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