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ke] 누크의 알파값 대해 쉽게 이해하기 4탄

안녕하세요! 오늘은 Nuke의 Roto를 활용하여 소스와 합성시키는 과정을 탐구해보는 흥미로운 시간을 함께 하려고 합니다.


roto 노드를 이용해서 alpha를 옮기는 방법

첫번째 방식) roto의 bg에 바로 연결을 하는 소스에 연결후 premult 노드를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 해당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스는 alpha가 없어야 하는 상태가 되어야합니다.

즉 png소스와 같은 알파값이 있는 상태에서는 진행이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bg를 연결을 시켰을 때는 roto가 가지고 있는 alpha/rgb채널이 소스에 더해지는 방식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bg가 연결된 소스가 전체가  화이트로 꽉차있는 alpha가 있는 상태라고 한다면, 전체적으로 흰색인 상태에 +roto의 흰색 알파가 더해진 상태가 된다  -> 차이가 없게 됩니다.

premult 노드란? 매우 중요한 노드입니다!!!

ㄴ 많이 사용되는 노드이니 꼭 기억합시다!

-> 대상이 가지고 있는 알파의 영역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삭제해주는 노드

ㄴ 원하는 객체만을 따서 올릴때 많이 사용을 합니다.!!

주로 알파값이 있는 소스아래에 premult노드를 달아주고 , copy노드사용후 premult를 달아줘서 알파값을 빼주는 역할을 합니다.


첫번째 방식으로 roto연결해보기

1. 소스를 1번으로 보고 a키를 눌렀을때 alpha값이 없는 지 확인합니다.

-> 혹은 소스노드 아래의 흰색띠가 없는 지 확인합니다.

2. 만약 있다면.. 해당 소스를 더블클릭후 properties 옵션창의 auto alpha가 체크해제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체크가 해제 되어있는데 알파값이 여전히 전체적으로 흰색으로 있다면 해당 소스는 첫번째 방식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소스 아래에 roto 1의 bg선으로 연결하겠습니다. 그리고 roto1를 1번으로 보겠습니다.

4.  tab으로 premult노드를 생성합니다.-> premult1이 생성이 됩니다.

roto 1아래에 premult1노드를 달아줍니다. premult1를 1번으로 봅니다.


결과)


진짜 alpha값이 내가 따준 roto부분 제외하고 잘 따졌는지 확인하는 법

1. tab으로 checkerboard노드를 생성합니다-> checkerboard1이 생성이 됩니다.

2. tab으로 merge를 생성합니다.-> merge 1이 생성이 됩니다.

3. merge 1의 a선은 소스쪽의 premult

merge 1의 b선은 checkerboard1에 연결합니다.

ㄴ merge의 개념: b위에 a가 어떤식으로 합쳐질것인지에 대한 노드

4. merge1를 1번으로 봤을때 체크무늬가 나오는 부분이 알파값이 빠진 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