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ke] 누크에서 constant노드 사용해보기2

저번시간에는 constant노드의 색상값을 변경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constant노드에 대한 r,g,b,a채널과  알파값에 대한 내용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시간의 개념을 사용해서 

constant노드를 색상 설정값을 변경해서 

1번으로 본 상황입니다.

이 상태에서

뷰어창에 마우스를 대고

a키, r키, g키, b키를 각각 눌러보면 각각의 채널의 값을 볼 수 있습니다.

 

현재 a키를 누르면  alpha채널에서 constant노드에 대한 값을 볼 수 있고.

r키를 누르면 red 채널에서 constnat노드에 대한 값을 볼 수 있고,

g키를 누르면 green 채널에서 constnat노드에 대한 값을 볼 수 있고,

b키를 누르면 blue 채널에서 constnat노드에 대한 값을 볼 수 있다.

다시 a키를 누르면 rgb채널로 바뀐다.

<a, r, g, b 키를 눌렀을때 결과 >

a, r, g, b키를 각각 눌렀을때

현재 constant노드의 색상이 주황색인데 주황색에서 가장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red채널이 가장 밝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근데! a키를 눌러서 나오는 alpha채널은 검은색이다. 알파값이 현재 0이라는 소리이다. 하지만 알파값은 존재값으로 알파값이 0이면 안보이고 1이면 보이는  데

현재  constant노드의 알파값은 0이여도 constant노드가 보인다.

< 다시 a키를 눌러서 rgb채널로 바꿨을때 결과 >

 

 


정리)

누크에서는 a키를 눌렀을때 알파값이 없는데 다시 a키를 눌러서 rgb채널로 보면 색이 있다.

즉, 누크에서 constant노드를 선택하고 a키를 눌렀을때 색이 있는데 알파값이 없다.

ㄴ 즉  알파값을 보이게 설정을 또 따로 해야한다.


< rgb채널의 값은 있는데 알파값이 0인 경우 >

ㄴ constant노드를 생성해서 색상을 넣으면 기본적으로 알파값은 없고 색상값만 있음. 그럴때 constant노드끼리 합성을 해주면 섞인다.

 

알파값이 보이게 설정을 하지 않고 그냥 합성을 해볼게요

1. tab으로 constant노드를 하나 더 생성해준다.

ㄴ constant2노드가 생성이 된다.

2. constant2노드를 1번으로 보고

3. color값을 1을 주고 색상을 변경해준다.

4. tab으로 merge를 꺼내준다.

ㄴ merge1이 생성이 된다.

5. merge 1의 a선은 constant2에 연결 merge1의 b선은 constant1선을 연결해준다.

ㄴ merge: 합성해주는 노드

6. merge1노드 선택하고 1번으로 보면 constant1과 constant2가 섞여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리)

즉 constant노드는 알파값이 없기에 각각의 constant끼리 그냥 섞인다. 알파값을 혼합을 막는 일종의 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에펙같은 경우는 솔리드끼리 알파값이 있으니 레이어에 두개 생성해도 섞이지 않고 섞이게 할려면 blend mode를 건들여야한다.

하지만 누크에서 혼합을 막는 alpha값을 설정을 하지 않고 그냥 merge로 홉합을 해버리면 blend mode를 사용하지 않고도 혼합이 된다.


< constant노드를 선택하고 a키를 눌렀을때  검은색 배경일때 설정으로 알파값을 보이게 만들기 >

 

1. constant 1노드를 더블클릭후 property창에서 channels옆의 박스를 클릭후 rgba으로 설정

2. constant2 노드를 더블클릭후 property창에서 channels 옆의 박스를 클릭후 rgba으로 설정

3. 그리고 뷰어창을 보면

merge a선으로 연결된 constant2노드만 뷰어창에 보인다.

ㄴ 설명) merge b선은 밑의 배경, merge a선을 배경위에 올려주는 것

4. 왜냐면 알파값을 인식하게 되어서 혼합을 막는 벽이 생성이 되서 merge a선으로 위로 올려준 constant2노드만 보이는 것이다.


정리)

constant노드의 property창에서 channel이라는 옵션에서 rgb가 기본으로 설정이 되어있을때 r,g,b값만 통제를 할 수 있는 상황이기에 뷰어창에서 a키를 눌러서 알파채널로 봐도 검은색 배경만 나온다.

channel이라는 옵션창에서 rgba채널로 바군후 작업을 해야 흰색배경까지 나온다.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