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PG] 개인정보 보호법 상의 의무가 제외되거나 적용되지 않는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제20조 정보주체 이외로부터 수집한 개인정보의 수집 출처 등 통지 의무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다만, 이 법에 따른 정보주체의 권리보다 명백히 우선하는 경우에 한한다.) 통지를 요구하는 대상이 되는 개인정보가 제32조제2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20조 정보주체 이외로부터 수집한 개인정보의 수집 출처 등 통지 의무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다만, 이 법에 따른 정보주체의 권리보다 명백히 우선하는 경우에 한한다.) 통지를 요구하는 대상이 되는 개인정보가 제32조제2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인간성을 위한 인공지능(AI for Humanity)을 위해 인공지능 개발에서 활용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기준으로 3대 기본원칙과 이 3대 기본원칙을 실천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전체 생명 주기에 걸쳐 충족되어야 하는 10가지 핵심 요건을...
가명처리 과정에서 생성되거나 이용되는 추가정보란, 원본 데이터를 가명처리하면서 식별이 불가능하게 만든 데이터와 함께 사용되는 정보를 뜻합니다. 추가정보는 가명정보만으로는 식별이 어려운 경우 식별이 가능하게 만들 수 있는 정보이기 때문에, 가명처리가 완료되면 원칙적으로 파기하고 필요한 경우...
내부관리계획은 개인정보보호 실태점검이나 민사소송 등에 대하여 기업에서 책임 있게 적절한 주의(Due Diligence)를 다 하였다는 방어기제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관리계획은 기업의 Risk관리에 있어 핵심 구성요소가 된다.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제4조(내부 관리계획의 수립ㆍ시행 및...
정보통신망법 제47조(정보보호 관리체계의 인증) ② 「전기통신사업법」 제2조제8호에 따른 전기통신사업자와 전기통신사업자의 전기통신역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거나 정보의 제공을 매개하는 자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제1항에 따른 인증을 받아야 한다. 「전기통신사업법」 제6조제1항에 따른 등록을...
법 제39조(손해배상책임) ④ 법원은 제3항의 배상액을 정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고의 또는 손해 발생의 우려를 인식한 정도 위반행위로 인하여 입은 피해 규모 위법행위로 인하여 개인정보처리자가 취득한 경제적 이익 위반행위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법 제45조의2(진술의 원용 제한) 조정절차에서의 의견과 진술은 소송(해당 조정에 대한 준재심은 제외한다)에서 원용(援用)하지 못한다. 조정절차에서의 의견이나 진술이 소송에서 원용되지 못하도록 하는 이유는 주로 다음과 같은 목적 때문입니다. 자유로운 의견 개진과 원활한 합의...
개인정보 보호법 제2조(정의)4. “개인정보파일”이란 개인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일정한 규칙에 따라 체계적으로 배열하거나 구성한 개인정보의 집합물(集合物)을 말한다. 개인정보 보호법 제32조(개인정보파일의 등록 및 공개) 및 시행령 제34조공공기관의 장이 개인정보파일을 운용하는 경우에는 그 운용을 시작한...
Python에서 formatted string과 raw string의 차이점은 문자열을 처리하는 방식과 주요 용도에 있습니다. 각 개념의 차이점과 사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Formatted String (f-string)– Python 3.6부터 도입된 기능으로, 문자열에 변수나 표현식을 쉽게 삽입할 수 있게 해줍니다. 사용법: f를...
한국투자증권의 Open API와 Python을 사용해서 모의투자/실적투자 트레이딩 유틸리티를 구성하는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 (Ⅰ단계) Python 코딩 환경 설정와 (Ⅱ단계) 문자메세지 수신 환경 설정은 별도의 글로 작성하였으며, 다른 방법을 사용해도 됩니다. Ⅰ. Python 코딩 환경 설정: V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