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VM에 Local Repository(지역 저장소) 등록하는 방법
Linux에 여러가지 패키지를 설치하려면 Repository가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인터넷 연결이 안되는 환경에서도 패키지를 설치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사내 시스템이 설치된 운영 서버(Application 서버, Database 서버)는 보안을 이유도 인터넷 연결을 차단하도록 방화벽이 설정되어...
Linux에 여러가지 패키지를 설치하려면 Repository가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인터넷 연결이 안되는 환경에서도 패키지를 설치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사내 시스템이 설치된 운영 서버(Application 서버, Database 서버)는 보안을 이유도 인터넷 연결을 차단하도록 방화벽이 설정되어...
“트래픽을 쓸어 담는 검색엔진 최적화”라는 책에 소개된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개선을 위한 13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수익형 블러그를 고민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검색엔진이 가장 좋아하는 사이트를 만들어야 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Cisco 장비에 SSH 프로토콜를 사용하여 원격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절차를 정리해 봅니다. 호스트명과 도메인명을 설정하지 않으면 암호화키를 생성할 수 없으니 반드시 설정해야 합니다. (config)# hostname 호스트명 (config)# ip domain-name 도메인명 SSH로 접속하기 위해서 접속할...
VLAN과 VXLAN을 비교하기에 앞서 Underlay Network와 Overlay Network를 설명해야 할 것 같습니다. Underlay Network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인프라를 의미하며, 실제 패킷 전달 경로와 전송 방식을 결정합니다. 반면, Overlay Network는 언더레이 네트워크 위에 가상화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JBOD(Just a Bunch Of Disk)와 RAID 0(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0)의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을 알아야 언제 무엇을 사용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먼저 비슷한 점은, 둘 다 여러 개의...
출근하면 매일 아침 첫 번째로 하는 일이 서버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인데, Linux 서버의 상태를 점검하면서 함께 WAS(Oracle Weblogic) Instance의 상태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웹 콘솔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나 웹 사이트 로그인하기가 귀찮네요. Cluster로 구성된 경우에는 서버...
이 번에는 리눅스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 및 소유권 관리를 위한 명령어들을 정리해 봅니다. chmod는 주로 shell script 파일의 실행권한을 부여할 때 사용하고 chown 명령어는 외부 자료나 외부 패키지를 설치하고 소유권을 부여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 장소에서 윈도우 원격 데스트톱을 사용하려면 연결 대상 컴퓨터(remote computer)에 “원격 데스크톱”을 설정해야 합니다. 내 PC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를 하려는데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출력되면 접속하고자 하는 원격PC에서 다음 단계를 설정해줘야 합니다. 시작 > 설정...
Linux 사용자(user)와 그룹(group)을 관리하기 위한 명령어들과 함께 관련 파일/디렉토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를 자동 등록하고 임의로 생성한 비밀번호도 설정하는 Shell Script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Linux 서버 취약점 분석/조치법 중 “패스워드 복잡성 설정”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Linux에 FTP 서비스를 설치하는 절차입니다. 인터넷 저장소에 연결할 수 없다면 Local Repository를 생성한 후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FTP를 사용하기 위해서 vsftp(Very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yum -y install vsftpd Last metadata expi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