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Linux

rsync 0

[Linux]너무 쉽고 완벽한 파일 시스템 동기화 하기(rsync)

rsync는 Remote Synch의 약자로 Delta-transfe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파일 및 디렉터리를 동기화하고 복사하는 명령어입니다. 주로 로컬 및 원격 시스템 간 파일 전송 및 백업에 사용됩니다. rsync를 cron 작업과 결합하여 정기적으로...

output of lsblk and tree 0

[Linux]특수 문자가 깨져서 출력될 때 조치 방법

PuTTY나 SecureCRT를 사용하고 있는데 lsblk, tree, pstree와 같이 hierarchy structure로 결과를 출력하는 명령어를 사용할 때, 계층 구조를 표시하는 특수 문자가 깨져서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대부분 Character Encoding Set를 아래와 같이 UTF-8로...

Password Authentication Failed 0

[Linux]Rocky Linux에 ssh 접속하기

Rocky Linux 9를 설치할 때 root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화면에서 “Allow root SSH login with password”를 체크하지 않으면, ssh 접속을 시도할 때 “Password Authentication Failed” 오류가 발생합니다.   sshd 데몬의 설정 파일(/etc/ssh/sshd_config)을 아래와 같이 수정해야...

chronyd, timedatectl 2

[Linux]RTC를 Local TZ으로 설정하기

최신 운영 체제는 두 가지 유형의 시계를 구분합니다: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시계라고 하는 실시간 시계(RTC, Real Time Clock)(일반적으로 시스템 보드의 집적 회로)는 운영 체제의 현재 상태와 완전히 독립적이며 컴퓨터가 종료된 경우에도 실행됩니다. RTC는 특정 시간대에...

chronyd, timedatectl 0

[Linux]NTP 패키지(chrony)를 설치하여 시간 동기화 하기

NTP(Network Time Protocol) 패키지를 설치하여 서버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목적은 정확하고 일관된 시간을 유지하고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기기와 서버들 간에 시간을 동기화하여 효율적인 작업 및 로깅, 보안 및 데이터 정합성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NTP를 사용하여...

Directory of Local Repository 0

[Linux]VM에 Local Repository(지역 저장소) 등록하는 방법

Linux에 여러가지 패키지를 설치하려면 Repository가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인터넷 연결이 안되는 환경에서도 패키지를 설치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사내 시스템이 설치된 운영 서버(Application 서버, Database 서버)는 보안을 이유도 인터넷 연결을 차단하도록 방화벽이 설정되어...

0

[Linux]WAS(Oracle Weblogic)의 instance 상태 확인

출근하면 매일 아침 첫 번째로 하는 일이 서버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인데, Linux 서버의 상태를 점검하면서 함께 WAS(Oracle Weblogic) Instance의 상태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웹 콘솔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나 웹 사이트 로그인하기가 귀찮네요. Cluster로 구성된 경우에는 서버...

permisson and ownership of Linux 0

[Linux]권한 및 소유권 관리를 위한 리눅스 명령어들

이 번에는 리눅스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 및 소유권 관리를 위한 명령어들을 정리해 봅니다. chmod는 주로 shell script 파일의 실행권한을 부여할 때 사용하고 chown 명령어는 외부 자료나 외부 패키지를 설치하고 소유권을 부여할 때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