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Linux

iSCSI 0

[Linux]iSCSI을 사용하여 SAN(NAS서버) 저장공간 할당하기

“원격 파일시스템을 마운팅하기” 글에서 NFS, SSHFS 및 CIFS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iSCSI(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SAN(Storage Area Netork)의 저장장치를 블록 수준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SCSI를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SAN과 관련된...

CIFS 0

[Linux]Part5) 원격 파일시스템을 마운팅하기(CIFS)

NFS(Network File System), sshfs 그리고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는 모두 다른 방식으로 원격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여 로컬 시스템에서 원격 파일에 접근하는 기술입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기술을 비교 설명하겠습니다. NFS(Network File System): 기술: NF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CIFS 0

[Linux]Part4) 원격 파일시스템을 마운팅하기(CIFS)

NFS(Network File System), sshfs 그리고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는 모두 다른 방식으로 원격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여 로컬 시스템에서 원격 파일에 접근하는 기술입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기술을 비교 설명하겠습니다. NFS(Network File System): 기술: NF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sshfs 0

[Linux]Part3) 원격 파일시스템을 마운팅하기(SSHFS)

NFS(Network File System), sshfs 그리고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는 모두 다른 방식으로 원격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여 로컬 시스템에서 원격 파일에 접근하는 기술입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기술을 비교 설명하겠습니다. NFS(Network File System): 기술: NF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nfs 0

[Linux]Part2) 원격 파일시스템을 마운팅하기(NFS)

NFS(Network File System), sshfs 그리고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는 모두 다른 방식으로 원격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여 로컬 시스템에서 원격 파일에 접근하는 기술입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기술을 비교 설명하겠습니다. NFS(Network File System): 기술: NF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nfs 0

[Linux]Part1) 원격 파일시스템을 마운팅하기(NFS)

NFS(Network File System), sshfs 그리고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는 모두 다른 방식으로 원격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여 로컬 시스템에서 원격 파일에 접근하는 기술입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기술을 비교 설명하겠습니다. NFS(Network File System): 기술: NF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0

[Linux]네트워크 점검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14개

서버에서 네트워크 상태 점검은 매일 하는 일이 아니라, 서버를 설치하거나 서버 접속에 문제가 있을 때나 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명령어들의 사용법을 잊기 쉽습니다. 저도 예외는 아니죠! 사용할 때마다 man 페이지를 보는데 사용하는 옵션은 거의...

wls ohs database 0

[Oracle]Part 6)쉽고 완벽한 Weblogic과 Webtier 설치하기

일반적으로 Oracle WebLogic Server(wls)는 Java EE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며, Oracle Webtier(ohs, Oracle HTTP Server)는 정적 및 동적 웹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보안 기능을 제공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보완합니다. 이 두 제품은 혼합하여 사용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