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Linux

0

[Linux]NFS 공유 디렉터리 자동 마운팅하기

automount는 사용자가 파일 시스템(로컬 디렉터리)에 접근할 때 필요한 원격 파일 시스템(예, NFS서버의 공유 디렉터리)을 자동으로 마운트하도록 도와주는 유틸리티입니다. “원격 파일시스템을 마운팅하기(NFS)” 글에서 설정한 환경을 사용하여 automount 서비스로 자동 마운팅하는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 NFS서버(192.168.56.101)의 export된 정보...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평가 방법 상세가이드 0

[Linux] 서버 취약점 분석/조치법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제공하는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상세 가이드”를 활용해서 Linux서버 취약점 분석 및 조치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우리 회사의 Linux서버 유지보수 업체에게 Linux서버의 취약점을 분석해서 조치해 달라고 요청하였으나 제대로된 보고서를 받지 못해 아쉬웠는데,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dnf package manager 0

[Linux]패키지를 설치하고 확인하는 절차

dnf install 명령어를 사용해서 저장소에 있는 패키지, Local 파일(rpm file) 및 원격 파일(url)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확인하는 절차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설치할 패키지가 있는지 확인합니다.(dnf list, dnf search) 패키지를 설치합니다.(dnf [-y] install) 설치된 패키지를...

iSCSI 0

[Linux]iSCSI을 사용하여 SAN(NAS서버) 저장공간 할당하기

“원격 파일시스템을 마운팅하기” 글에서 NFS, SSHFS 및 CIFS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iSCSI(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SAN(Storage Area Netork)의 저장장치를 블록 수준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SCSI를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SAN과 관련된...

CIFS 0

[Linux]Part5) 원격 파일시스템을 마운팅하기(CIFS)

NFS(Network File System), sshfs 그리고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는 모두 다른 방식으로 원격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여 로컬 시스템에서 원격 파일에 접근하는 기술입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기술을 비교 설명하겠습니다. NFS(Network File System): 기술: NF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CIFS 0

[Linux]Part4) 원격 파일시스템을 마운팅하기(CIFS)

NFS(Network File System), sshfs 그리고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는 모두 다른 방식으로 원격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여 로컬 시스템에서 원격 파일에 접근하는 기술입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기술을 비교 설명하겠습니다. NFS(Network File System): 기술: NF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sshfs 0

[Linux]Part3) 원격 파일시스템을 마운팅하기(SSHFS)

NFS(Network File System), sshfs 그리고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는 모두 다른 방식으로 원격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여 로컬 시스템에서 원격 파일에 접근하는 기술입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기술을 비교 설명하겠습니다. NFS(Network File System): 기술: NF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nfs 0

[Linux]Part2) 원격 파일시스템을 마운팅하기(NFS)

NFS(Network File System), sshfs 그리고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는 모두 다른 방식으로 원격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여 로컬 시스템에서 원격 파일에 접근하는 기술입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기술을 비교 설명하겠습니다. NFS(Network File System): 기술: NF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