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IT Base

Sangfor SCP 4

[Sangfor HCI]Sangfor SCP 설치하기

  Sangfor SCP(SANGFOR cloud platform)는 full-stack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으로 X86 클러스터, ARM 클러스터, 가상화 플랫폼, 퍼블릭 클라우드 등 여러 이기종 리소스를 균일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및 보안과 같은 기본 IaaS 서비스는...

Virtual Datastore 0

[Sangfor HCI]Virtual Datastore 생성하기

Storage Network Interface 설정이 완료되면 Virtual Datastore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Storage > Virtual Datastores” 페이지로 이동한 다음, “+ New” 버튼을 클릭합니다. “Virtual Datastore Name”을 입력합니다. “Type”은 Ordinary datastore를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Virtual Datastore에...

Local Datastore 0

[Sangfor HCI]Local Storage를 Datastore에 추가하기

지난 글에서 원격 저장소에 있는 디스크를 iSCSI 프로토콜나 nfs 프로토콜를 활용해서 Datastore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봤는데, 이 번에는 Local storage를 Datastore에 추가하는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 클러스터링을 하지 않거나, Virtual Datastore에 추가하지 않은 나머지 Local Storage를 Datastore에...

nfs datastore 0

[Sangfor HCI]NFS Datastore 생성하기

지난 번에는 “iSCSI Datastore 생성하기”를 알아봤는데, 오늘은 NFS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Datastore를 생성하는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FS서비스를 지원하는 Netgear NAS RN3138 모델을 NFS 서버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원격 파일시스템을 마운팅하기(NFS)” 글을 보시면 NFS를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될...

iSCSI 0

[Windows]iSCSI Initiator Service를 사용해서 NAS서버 저장공간(iSCSI Target)을 할당하기

Sangfor HCI 서버에서 iSCSI를 사용하여 NAS서버의 저장공간을 Datastore로 생성하는 절차를 공부하다가 윈도우즈에서도 iSCSI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정리해 봅니다. 윈도우즈의 iSCSI Initiator Service를 사용해서 Netgear NAS에 등록된 iSCSI Target를 연결하여 디스크 장치를...

0

[Sangfor HCI]iSCSI Datastore 생성하기

Sangfor HCI 서버는 원격 저장소를 연결해서 Datastore를 만드는데 3가지 방법을 지원합니다. – FC(Fiber Channel) – iSCSI(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 NFS(Network File System) : NFS로 Datastore 생성하기 ▶ NAS에서 iSCSI와 NFS를 모두 지원할...

0

[IT Base]DAS vs. NAS vs. SAN

DAS, NAS, SAN의 개념과 함께 각각의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분 DAS NAS SAN 구성요소 Application 서버 + 스토리지 Application 서버 + 파일서버 + 스토리지 Application 서버 + 스토리지 접속방식 다이렉트 이더넷 네트워크...

0

[Windows]네트워크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툴(winMTR) 소개

제가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할 때 주로 사용하는 winMTR 프로그램은 1997년에 출시된 전통과 역사를 가지고 있는 Open Source Tool입니다. 리눅스 및 유닉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경로 및 각 호스트 간의 지연 시간(핑)을 추적하고 보여주는 MTR(Matt’s Traceroute)...

Link Aggregation 0

[Sangfor HCI]Link Aggregation을 설정하는 절차

5개 이상의 Physical Interface(또는 LAN Port)를 가지고 있는 서버에 Sangfor HCI Solution을 설치한다면, Link Aggregation의 구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Link Aggregation을 구성하면 여러 링크를 하나의 고대역폭 채널로 사용함으로써 몇 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Communication Interface 0

[Sangfor HCI]Communication Interfaces의 모든 것

Sangfor HCI Solution은 4가지 종류의 Communication Interface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Nodes > Communication Interfaces” 메뉴로 이동) Management Interface Overlay Network Interface Physical Edge Interface(Edge-Connected Interface) Storage Network Interface Physical server가 보유하고 있는 포트 갯수에 따라...

diskpart command 0

[Windows]EFI 시스템 파티션 삭제 방법

Windows를 UEFI로 설치하게 되면 디스크에는 EFI 시스템 파티션이 생성됩니다. 이런 디스크들을 단순 데이터 디스크로 사용하기 위해 디스크 하나에 파티션 하나만 생성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디스크 관리자에서는 파티션을 생성/삭제/확장할 수 있으나, EFI 시스템 파티션의...

0

[Sangfor HCI]License 활성화 및 클러스터 구성하기

“Sangfor HCI Solution 설치“가 완료된 후 2대 이상의 서버를 클러스터링할 경우, 성능이 가장 좋은 서버를 Cluster Controller로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서버 사양이 다소 차이가 나더라도 Cluster구성을 할 수 있으며, Cluster...

사이버 위협 동향 0

[정보보안]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2023년 상반기)의 키워드 요약

KISA 보호나라&KrCERT/CC 사이트의 “알림마당 > 보고서/가이드”에 등록된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2023년 상반기)“의 키워드를 요약한 것입니다. Part.1 사이버 위협 동향 1-1. 침해사고 현황 중국 해커조직인 샤오치잉은 국내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취약점 스캔을 수행해서 공격 대상들을 선별했던...

0

[IT Base]RAID mode와 HBA mode 비교 설명

Sangfor HCI Solution을 설치할 때 “RAID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을 드렸는데, 저와 똑같은 오해를 하실 것 같아서 잠깐 집고 넘어가겠습니다. RAID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묶어서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RAID를 구성할 필요가...

0

[Sangfor HCI]Physical 서버에 Solution 설치하기

2020년 현재 근무하고 있는 회사가 중국의 Vital그룹으로 매각되면서 Sangfor HCI Solution을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중국 업체의 HCI Solution을 도입하면서 처음에는 신뢰성, 안정성, 서비스 수준 등에 대한 우려도 조금 있었습니다. 그런데 2년 넘게 사용하면서 이러한 우려들이...

0

[IT Base]Delta-transfer 알고리즘에 대하여

Delta-transfer 알고리즘은 파일 전송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원본 파일과 대상 파일 사이의 변경된 부분만을 전송하여 효율적으로 파일을 동기화하거나 백업하는 방법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때 대역폭을 절약하고 전송 시간을 단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너무...

Fix: Cannot type in search box 0

[Windows]찾기 박스(Search Box)에 입력할 수 없을 때 조치 방법

Windows 10을 업데이트하면 이상한 일들이 가끔 발생합니다. Windows 10을 업데이트하고 나면 현업에서 문의가 많이 옵니다. 개개인에게는 가끔이지만 문의가 모이면 자주라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입니다. 오늘은 시작 버튼 옆에 있는 찾기 박스(search box)에 검색을 위해 문자를...

0

[Network]Cisco 장비에 원격접속(ssh) 설정 방법

Cisco 장비에 SSH 프로토콜를 사용하여 원격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절차를 정리해 봅니다. 호스트명과 도메인명을 설정하지 않으면 암호화키를 생성할 수 없으니 반드시 설정해야 합니다. (config)# hostname 호스트명 (config)# ip domain-name 도메인명 SSH로 접속하기 위해서 접속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