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MS-P] 3.4.1 개인정보 파기 vs. 3.4.2 처리목적 달성 후 보유 시 조치
세부 점검항목별 키워드(2023.11월 기준)로 돌아가기 항목 3.4.1 개인정보 파기 3.4.2 처리목적 달성 후 보유 시 조치 인증기준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파기 관련 내부 정책을 수립하고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경과, 처리목적 달성, 가명정보의 처리 기간 경과...
세부 점검항목별 키워드(2023.11월 기준)로 돌아가기 항목 3.4.1 개인정보 파기 3.4.2 처리목적 달성 후 보유 시 조치 인증기준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파기 관련 내부 정책을 수립하고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경과, 처리목적 달성, 가명정보의 처리 기간 경과...
앞 글에서는 VM을 1회성으로 백업하는 절차를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백업 스케줄을 등록해서 주기적으로 백업하는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 “Datacenter > Backup” 메뉴로 이동한 후 Add 버튼을 클릭합니다. “Create: Backup Job” 화면에서 Node, Storage, Schedule, Selection mode, Compression,...
KISA 홈페이지의 “지식플랫폼 > 법령·가이드라인 >가이드라인”에 등록된 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0 자료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핵심 요소 세부역량 ISMS-P 인증기준 연계 식별자·신원 사용자 인벤토리 2.5.1 사용자 계정 관리, 2.5.2 사용자 식별, 2.5.6 접근권한 검토, 2.11.3 이상행위...
Proxmox VE는 Full Backup만 지원하므로 증분 백업을 사용하려면 Proxmox Backup Server(PBS)를 사용해야 합니다. VM의 백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Backup용으로 사용할 스토리지가 필요합니다. 저는 NFS 파일시스템으로 마운팅한 스토리지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백업을 하기 위해서는 백업용 스토리지의 Content...
node1을 강제로 shutdown시켜 node2에서 복제된 VM을 실행시켜보겠습니다. Proxmox VM document의 절차를 따라 복구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VM의 환경설정 파일은 /etc/pve/nodes/node*/qemu-server/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node1과 node2의 환경설정 파일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root@node1:~# ls -al /etc/pve/nodes/node*/qemu-server/* -rw-r—– 1...
zfs 파일시스템에 설치된 VM만 복제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앞 글에서 VM을 Migration할 때 node1의 zfs 파일시스템의 저장소인 local-zfs를 선택했습니다. 복제하고자 하는 VM을 선택 > 왼쪽 메뉴 리스트에서 Replication을 클릭 > Add 버튼 클릭하면 Create:...
설치된 VM을 다른 node로 이동시키기 위해 Migration 기능을 사용합니다. 주로 node간에 CPU, Memory, Storage 등의 사용률에 현격한 차이가 있으면 高 사용률의 node에서 低 사용률의 node로 VM을 이동시킬 때 사용하면 됩니다. node1의 local 스토리지에 설치된...
NIST PQC 표준화 과정에서 양자 컴퓨터에 안전한 암호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5가지 주요 유형과 각 알고리즘의 용도를 포함한 비교표입니다. 암호 유형 대표 알고리즘 특징 장점 단점 주요 용도 격자 기반 (Lattice-based) CRYSTALS-Kyber (키교환,...
Bootable Media Creator를 사용해서 Lenovo System X3650 M5(Machine Type 8871)의 BIOS/UEFI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사이트에 방문합니다.https://datacentersupport.lenovo.com/us/en/downloads/DS571553 Payload Package(lnvgy_utl_lxce_bomc02m-14.0.0_windows_indiv.exe)를 다운로드합니다. 다운로드한 파일을 실행합니다. 11단계를 거치면서 업데이트를 위한 Bootable USB가 생성됩니다....
앞서 글에서 업로드된 *.ova 파일을 사용해서 VM을 생성하겠습니다. 업로드된 *.ova파일(여기서는 win10.ova)을 선택하고 Import 버튼을 클릭합니다. Import Guest 팝업창이 나타나면, General 탭에서 Cores/Memory/Default Storage 등을 설정하고, Advanced 탭에서 Disk Storage 및 Network Interface 등을 설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