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Base]DAS vs. NAS vs. SAN
DAS, NAS, SAN의 개념과 함께 각각의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분 | DAS | NAS | SAN |
---|---|---|---|
구성요소 | Application 서버 + 스토리지 | Application 서버 + 파일서버 + 스토리지 | Application 서버 + 스토리지 |
접속방식 | 다이렉트 | 이더넷 네트워크 | 광 네트워크, iSCSI |
스토리지 공유 | 가능 | 가능 | 가능 |
파일시스템 공유 | 기능없음 | 가능 | 불가능 |
파일시스템 관리 | Application 서버 | 파일 서버 | Application 서버 |
데이터 전송 | IDE/SCSI | TCP/IP, Ethernet | Fibre Channel, iSCSI |
Storage Type | Sector | File | Block |
저장공간 개념 | 전용 | 공유 | 할당 |
프로토콜 | IDE, SATA, SCSI, SAS | NFS, CIFS, SMB | iSCSI |
- DAS : Direct Attached Storage
- 서버와 저장장치간의 전용케이블을 이용하여 직접 연결한 형태
- PC에 외장하드를 연결하는 형태와 같이 서버 자체에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방식
- 장점 : 전용전을 이용하여 성능이 보장되고 안정성이 뛰어남
- 단점 : 서버와 직접 연결하는 형태로 파일 공유가 어려우며, 확장 및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짐
- NAS : Network Attached Storage
- 네트워크에 연결한 저장장치로 파일 공유와 파일 전송 서비스를 제공
- 쉽게 이야기해서 LAN으로 연결하는 외장 하드디스크
- 파일서버 기능 뿐만이 아닌, 다양한 Application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저장 및 공유가 가능
- 여러 매체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저장장치에 접근이 가능하며 공유가 용이
- 파일서버와 저장장치는 전용 케이블로 연결
- 저장장치와 서버 사이에 독립성이 유지 됨
- 파일 단위로 저장
- 장점 : 유연한 파일 공유
- 단점 :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유로 접속자가 많을 경우 성능저하 발생
- SAN : Storage Area Network
- 스토리지 접근을 위해서는 각 호스트(컴퓨터, 서버)들은 모두 SAN 전용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근
- iSCSI나 FC같은 직렬 SCSI 프로토콜을 이용해 통신하는 두 개 이상의 장치
- 일반 사용자는 LUN이라는 고유 번호를 통해 가상으로 할당된 드라이브를 사용
- DAS의 단점인 접속 한계성을 개선하여 n개의 서버가 n개의 저장장치에 접근 가능
- NAS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들고, 기존 시스템의 업그레이드가 필요
- 블록단위로 저장
- 장점 : 전송 속도가 빠르며, 안정성이 높음, 원거리 분산 저장장치 설치 가능, 다수의 서버로 접근 가능
- 단점 : 초기 구축비용이 많이 들고, 구성이 복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