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ke] keyer 노드에 대해 쉽게 이해하기 4탄

안녕하세요! 오늘은 keyer + copy + premult노드로 뽑아준 불 소스의 불부분과 다른 배경과 합성을 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합성할 배경 소스를 노드 그래프 창에 떨궈주고 tab으로 reformat노드를 생성후 방금 떨궈준 소스 아래에 달아줍니다.

-> 복습) reformat노드: project setting의 full size format 사이즈에 맞춰주는 기능

현재 project setting 창에서 full size format을 hd 1080으로 맞춰준 상태여서 해당 소스 아래의 reformat을 달아주고 reformat을 1번으로 봤을때 뷰어창에서 hd 1080인 것을 확인가능합니다.

2. tab으로 transform 노드를 생성해줍니다. reformat 아래에 연결해줍니다.

-> 복습) transform 노드: 소스의 위치, 크기, 회전값을 조절할 수 있는 노드

3. transform 1노드를 더블클릭후 뷰어창에 생성된 transform 컨트롤러를 확인합니다.

4. 해당 컨트롤러의 위치를 옮겨서 뷰어창에서 해당 소스중에 뷰어창에서 보이고 싶은 부분으로 이동해줍니다.

5. 이제 불 소스에서 불 부분만 땐 거랑 떨궈준 소스랑 합성해주기 위해서 tab으로 merge를 꺼내줍니다. -> merge 1이 생성이 됩니다.

6. merge 1의 a선을 불 소스쪽의 premult 1에 연결해줍니다. merge 1의 b선을 떨궈준 소스쪽의 transform 1에 연결해줍니다.

해당 merge 1를 1번으로 본다.

결과)


다음 시간에는 grade와 colorcorrect노드를 사용해서 합성해주는 소스끼리의 분위기를 맞춰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