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ke] keyer, copy, premult에 대해 쉽게 이해하기 1탄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말 누크에서 많이 사용하는 keyer노드, copy노드, premult노드에 대해 쉽게 이해해보겠습니다!! 특히 기하학적인 영상소스를 따줄때 keyer + copy + premult노드를 연결해서 사용을 합니다.

keyer는 maya상에서 airange노드와 정말 비슷하게 사용됩니다. 알파값의 1,0의 대비를 조절해줄때 사용합니다.

copy노드는 쉽게 말씀드리자면 알파값을 추출해주는 노드입니다.

premult노드는 알파값을 더 깨끗하게 잘라주는 역할을 하는 노드입니다. copy노드 바로 아래에 주로 달아줍니다.

이제 좀더 정확하고 쉽게 keyer 노드, copy노드, premult노드 를 이해해보겠습니다.


keyer 노드

– 누크에서 tab으로 keyer노드를 생성할시 keyer 1 (luminance key)  (alpha) 라는 노드로 생성이 됩니다.

이때 luminace는 명도를 의미하고 alpha는 알파값을 의미합니다.

–  keyer는 영상소스 바로 아래에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keyer는 연결된 소스를 명도값을 조절해서 해당 영상소스에서 원하는 부분의 알파값(흰,검)범위를 조절해주는 것이 keyer노드의 역할입니다.

keyer는 이미지 소스나 영상 소스 ( 불 소스, 연기 소스와 같은 기하학적인 소스 )에서 roto로 따주기 힘든 것들을 좀더 쉽게 판단할 수 있게끔합니다.

keyer노드를 더블클릭해서 properties 옵션창에서 봤을때 operation 박스가 있습니다.

해당 operation의 종류를 설정해서 어떤 명도채널이 더 흰색과 검은색 영역이 잘따질지 선택해야합니다.-> operation 종류를 생각하지말고 그냥 기본 luminance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그래프에서 맨 왼쪽 아래 노란색 막대기로 검은색 영역을 조절하는 것이고 

그래프에서 맨 오른쪽 위 노란색 막대기로 흰색 영역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keyer노드로 알파값에 대한 범위를 조절했다면 해당 알파값을 추출하기 위해 copy 노드를 사용해야합니다.

keyer노드로 명도를 조절해서 만들어준 소스의 알파는 사진 그대로인데 copy노드로 알파값을 ‘정보’를 옮겨줘야합니다.


copy

– copy노드 단축기: 단축기 k

–  keyer +  copy 노드의 연결방식)

copy의 b선은 영상, 이미지 소스에 연결, copy의 a선은 keyer에 연결합니다.


premult

– 대상이 가지고 있는 알파의 영역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삭제해주는 노드

– copy노드 아래에 premult 달면 더 깨끗한 상태로 나옵니다.


다음 시간에는 직접 keyer + copy + premult노드를 사용해보겠습니다.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