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ke]누크에서 constant노드 사용해보기1
오늘은 누크의 constant노드에 대해 기본적인 공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본셋팅을 하고 진행하겠습니다.
1.맨 오른쪽 아래의 노드그래프창에 마우스를 대고 tab키-> constant노드를 꺼내준다.
ㄴ 설명) constant노드는 에펙의 솔리드랑 같은 개념이다.
2. constant1를 1번을 누르면 viewer의 1번으로 연결되며 화면에 보이게 된다.
3. contant노드를 더블클릭해서 property창을 봐준다.
4. property창에서 color항목에서의 휠을 좌우로 조절해보면 뷰어창에서 흰색이랑 검은색사이의 값으로 표현이된다. 왜냐면 rgb라는 값이 동일하게 움직여서 똑같은 값으로 떨어져서 흰색과 검정색 사이의 값으로 밖게 표현이 안된다.
만약 색상을 바꾸고 싶다면! constant의 property창에서 무지개 구아이콘 클릭하면 r,g,b를 조절할 수 있는 창이 뜬다.
5. 빨간줄은 r값, 초록줄은 g값, 파란줄은 b값, 흰색줄은 a값이다.
< constant노드의 색상을 바꾸기- 맨 왼쪽의 구로 색상 바꾸기 >
일단 r,g,b, alpha줄의 값을 0,0,0,0으로 바꾼다음에 맨 왼쪽의 구모양으로 색감을 조절해보겠다.
-맨 왼쪽의 구에서 제일 외각에 있는 건 hue이다.
ㄴ 설명) 블랙인 상태에서 돌려봐야 안보임! hue는 채도가 조금이라도 있는 상태에서 적용이 된다.
-맨 왼쪽의 구부분에서 검정색 부분을 우클릭으로 누른 상태에서 좌우를 해보면 명도를 조절가능
ㄴ 설명) 해당 부분을 우클릭하면서 우측으로 밀면 점점 색이 밝아짐.
-맨 왼쪽 구부분의 내부 동그라미를 선택한 상태로 이동하면 채도를 넣어줄 수있다.
만약 ! 채도가 고정인 상태에서 이동하고 싶다면 내가 원하는 채도느낌을 찾아준다음에 shift를 눌러준다.
< constant노드의 색상을 바꾸기- r,g,b,alpha줄을 이용해서 색을 바꾸기 >
ㄴ 잘 안쓴다. 확실하게 잡기 힘들어서
일단 r,g,b, alpha줄의 값을 0,0,0,0으로 바꾼다음에 다시 해당 r,g,b,a줄의 값을 조절해본다.
만약 노란색을 만들고 싶다면
r 줄에는 1값을, g 줄에는 0.6값이다.
ㄴ 설명) 만약에 세밀한 조정이 필요하다면
수치값부분을 드래그로 선택하고 방향키 위, 아래를 눌러가면 1자리씩 빠진다.
< constant노드의 색상을 바꾸기- 맨 오른쪽 세줄라인으로 조절하기 >
ㄴ 설명) photoshop color balance랑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