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용어 쉽게 이해하기: Scale up과 Scale out

출처: https://www.linkedin.com/pulse/scaling-up-vs-out-your-security-segmentation-alexander-goller
- Scale Up (스케일 업)
- 수직 확장 (Vertical Scaling)
- 기존 인스턴스의 CPU, 메모리, 스토리지 등의 성능을 증가시켜 확장하는 방식
- 예: t3.micro → t3.large로 업그레이드
- Scale Down (스케일 다운)
- 수직 축소 (Vertical Scaling)
- 성능이 과도하게 높다면 낮은 스펙의 인스턴스로 변경하여 비용 절감
- 예: r5.4xlarge → r5.2xlarge
- Scale Out (스케일 아웃)
- 수평 확장 (Horizontal Scaling)
- 기존 인스턴스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인스턴스를 추가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식
- 예: EC2 인스턴스를 추가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량 증가
- Scale In (스케일 인)
- 수평 축소 (Horizontal Scaling)
- 사용량이 줄어들면 불필요한 인스턴스를 제거하여 비용 절감
- 예: 트래픽이 줄어들면 EC2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감소
즉, Scale Up/Down은 개별 인스턴스의 성능을 조절하는 방식, Scale Out/In은 인스턴스 개수를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AWS에서는 Scale In/Out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Auto Scaling Group(ASG)을 설정합니다.

출처: https://docs.aws.amazon.com/autoscaling/ec2/userguide/what-is-amazon-ec2-auto-scaling.html
- EC2, RDS, DynamoDB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사용 가능
- CloudWatch와 연계하여 트래픽 또는 CPU 사용량을 기준으로 조정